이마트는 오는 24일(수)부터 대형마트 최초로 인도산 망고를 4,400원(410g내외/개)에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이마트에서 판매된 망고의 95%는 필리핀과 태국산으로 이번 인도산 망고 판매를 시작으로 동남아 국가에 집중되어 있던 망고 수입국가가 다변화 된다. 망고는 2012년 이마트 수입과일 가운데 매출 11위를 기록하며 10위권에도 들지 못했지만 고당도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지난해는 6위까지 올라서며 대표적인 수입과일로 자리잡고 있다. 실제, 지난해 이마트 망고 매출은 15년과 비교해 15% 증가하는 등 매년 두 자리 수 신장률을 기록하며 수입과일 평균 매출 상승세(6%)를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망고는 ‘열대과일의 여왕’이라고 불릴 만큼 일반적으로 열대 과일이라는 인식이 강해 동남아가 주요 산지로 알려져 있지만, 망고 생산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인도로 전세계 망고생산량의 4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14년 기준, 통계청 참고) 뿐만 아니라 품질 면에서도 인도산 망고는 상대적으로 동남아산 망고에 비교해 평균 당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마트가 이번에 선보이는 인도산 망고의 평균 당도는 21brix 가량으로 재배 과정에서 과육에 봉지를 씌우지 않고 햇빛에 직접 노출시켜 필리핀산(13Brix)이나 태국산(18Brix) 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다. 이처럼 이마트가 망고의 수입 산지를 넓힌 배경에는 망고 소비가 국내에서 대중화 되면서 합리적인 가격에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해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마트는 6월부터 8월까지 이어지는 태국의 우기에는 망고 수확이 없어 상대적으로 필리핀산 망고로 수요가 집중되며 필리핀산 망고의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점을 고려해 인도산 망고를 추가 개발 산지로 검토했다. 인도산 망고는 5월부터 8월까지로 제철로 가장 좋은 품질의 망고가 수확되는 시기이기로 태국산 망고의 공백이 우려되는 기간 동안 안정적인 공급원이 될 수 있기 떄문이다. 이 같은 수입국가 다변화 행보는 이미 국내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오렌지와 바나나, 체리와 같은 수입과일의 경우 앞서 이뤄지고 있다. 특정 국가로 수입 산지가 쏠릴 경우 해당 국가의 기후 변화나 무역환경 변화에 따라 국내에 공급되는 수입과일의 가격에 영향을 주며 장바구니 물가를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마트의 경우 과거 필리핀산의 비중이 90~95% 수준에 달했던 바나나는 올해부터 남미지역의 에콰도르에서 수입한 바나나를 들여와 공격적으로 판매 중에 있고, 미국산 오렌지를 대신할 수 있는 스페인산 오렌지를 대체 상품으로 선보이고 있다. 특히, 과거 필리핀의 바나나 주요 재배지역의 태풍 피해가 있던 2012년 이후 중국의 바나나 소비 증가가 겹치며 필리핀산 바나나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자 국내 가격 안정을 위한 대체 산지로 필리핀산 바나나와 비교해 평균 20% 저렴하면서도 저장성이 우수한 에콰도르산을 발굴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북미지역의 냉해 피해로 인해 국내 오렌지 시세가 급등하고 공급부족 현상을 경험한 직후 대체 산지 발굴에 뛰어들어 미국산 대비 20%가량 저렴한 스페인산을 도입하게 되었으며,
체리의 경우에도 미국산 체리 이외에도 우즈베키스탄 체리와 뉴질랜드 체리 등 무역 환경상 이점을 발휘할 수 있는 수입국가를 추가로 개발해 국내 공급가격 안정화에 노력하고 있다.
김영완 이마트 수입과일 바이어는 “망고의 경우 2012년 국내 수입과일 가운데 매출10위에도 들지 못했던 과일이나 최근 들어 급격한 소비 증가로 인해 바나나, 오렌지, 포도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는 주요 수입과일로 등극했다”며 “다양한 산지개발을 통해 연중 안정적인 가격에 좋은 상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7.5.23(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