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갈치

Home > 생갈치
Home > SSG DAILY/PRESS
중•일 금어기 시행으로 어획량 풍부해져, 위판가 작년대비 25% 저렴해
갈치 연중 최저가로 장바구니 부담 낮춘다
이마트
#이마트


작년 ‘20년만의 대풍’이라 불리며 가격이 절반 가까이 저렴해졌던 갈치를 올해는 더욱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게 됐다. 


이마트는 오는 16일(목)부터 22일(수)까지 일주일간 제주산 생갈치 1마리(대, 300g 내외)를 연중 최저가인 4,980원에 판매한다. 작년 동기간의 생갈치 1마리 가격(6,780원)과 비교하면 약 27% 저렴하며, 작년 최저가였던 5,900원보다도 약 16% 저렴한 가격이다. 


최근 어족자원 고갈로 오징어, 가자미, 바지락 등 수산물 가격이 올라있는 것을 감안하면 갈치가 장바구니 가격 부담을 다소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때 1마리당 가격이 1만 2천원(이마트 생갈치 大자기준)까지 치솟으며 ‘금갈치’라고 불렸던 갈치는 작년 제주 연근해의 수온이 높고 먹이자원이 풍부해지면서 어장이 형성, 어획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가격이 40% 가량 저렴해졌다. 


올해도 어획량이 크게 늘었다. 제주지역 주요 수협의 갈치 위판량을 살펴보면 올해 1~7월간 갈치물량은 2년전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으며, 작년보다도 약 17% 가량 증가했다. 이로 인해 위판 단가 역시 2년 전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 올해 평균 위판단가는 작년 동기간과 비교해서도 25% 저렴해졌다. 


현지 관계자들에 의하면, 이 같은 갈치 위판량의 증가는 중•일 잠정조치수역 내 금어기를 운영했던 것이 효과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갈치 조업 선박은 제주 소속 갈치 선박과 비교해 선박수도 2배 이상 많고, 선박의 규모도 커 4~5배 많은 조업이 가능했다.


그러나 2013년부터 중국 및 일본 정부에서 6~8월 중 금어기를 정해 조업을 관리하게 되면서, 4년이 지난 작년부터 국내 갈치 조업량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로 인해 냉동 갈치 조업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전체 갈치 판매에 활기를 띠며 냉동 뿐만 아니라 생갈치 가격까지 함께 낮아졌다는 것이다. 


김상민 이마트 수산바이어는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갈치를 연중 최저가 수준에 준비해 갈치 소비를 촉진, 어가의 부담을 덜고 장바구니 가격을 낮추는데도 일조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수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8.8.16 (목)

Home > SSG DAILY/PRESS
한 때 ‘금갈치’로 통했던 갈치, 올해 풍어 맞아 어획량 5배 증가(6월)
국민생선 갈치, “20년 만의 풍어”
이마트
#이마트


갈치가 돌아왔다. 뱃사람들 사이에서는 10년 만의 풍어, 20년 만의 풍어라는 말이 나돌 정도다.



이마트는 13일(목)부터 19일(수)까지 일주일간 生제주은갈치 大자 1마리를 6,200원에 판매한다. 지난해 동기 대비 42% 저렴한 가격이다. 한 때 갈치는 ‘금갈치’로 통하며 가장 비쌀 때 1마리에 1만2천원선(이마트 생갈치 大자 기준)까지 올랐었지만 올해 모처럼만의 풍어를 맞아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 아직 조업 초기지만 벌써 위판가가 전년 동기 대비 25~30% 수준이나 떨어졌다. 



얼린 선동갈치 유통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는 8월에 가서는 지난해 대비 40% 수준까지 떨어질 거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 4개 수협(한림/서귀포/성산포/제주시)의 6월 한 달 기준 어획량이 전년 동기보다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난해 6월 갈치 어획량은 621톤에 위판액이 95억원에 그쳤지만 올 6월엔 벌써 2951톤에 439억원을 기록했다.



1~6월 누계로는 어획량 5906톤(위판액 990억원)으로, 지난해 3288톤(위판액 720억원) 대비 80% 가량 증가했다. 서귀포 수협 10kg(32~33미) 선동(냉동) 갈치 기준 위판가 역시 지난해 7월초 18만원 선에서 올 7월초 13~14만원 선으로 급격히 떨어졌다. 이 같은 갈치 대풍 현상은 제주 연근해 어장의 수온이 예년보다 높고, 갈치 먹이자원이 풍부해지면서 갈치 어장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것으로 풀이된다.



2013년까지만 해도 제주도 기준 갈치 총 어획량은 17,163톤에 달했지만 2015년 들어 13,829톤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지난해에도 13,488톤으로 부진했었다. 갈치의 주 조업 시기는 7~9월로, 제주도에서 4~5시간 떨어진 연근해로 나가 조업을 한다. 특히 7월 한달 동안에는 대량 조업 형태인 '연승' 조업이 금지되어 있어 아직까지 위판가 13~14만원선(선동 기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8월 들어서면서부터 선동 물량이 시중에 풀리기 시작하면 갈치 가격은 더욱 하락할 전망이다.



소비자들도 장바구니 부담을 크게 덜게 됐다. 이마트 7월 둘째주 기준 생갈치 大자 1마리 판매가는 2014년 8,800원, 2015년 9,380원, 2016년 10,800원에서 2017년 6,200원으로 크게 하락했다.  



한편 이 같은 갈치 대풍 현상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정부에 갈치수매자금 390억원을 긴급 지원 요청하기도 했다. 이마트 김상민 수산 바이어는 "최근 어족자원 고갈로 수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갈치가 드물게 대풍을 맞으면서 오랜만에 저렴한 가격에 제철 생선을 먹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2017.07.10(월)

Home > SSG DAILY/PRESS
폭염 덕분?
제주 갈치 방긋 웃었다!
이마트


#이마트

이마트, 31일(수)까지 제주 생갈치 최대 35%할인





올 여름 기록적인 폭염 여파로 밥상물가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이마트가 국민 생선인 갈치 할인행사를 대대적으로 펼칩니다. 이마트는 오는 31일(수)까지 채낚기 방식으로 잡은 제주산 생갈치를 기존 판매 가격대비 최대 35% 할인해 마리당 12,800원(특), 6,980원(대)에 전국 매장에서 판매합니다. 이는 제주산 냉동갈치보다 최대 20%가량 저렴한 가격으로, 이마트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30톤을 제주에서 공수해 판매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 행사의 특징은 제주산 생갈치로는 이례적으로 할인행사 기간을 늘려 올해 들어 최장기간, 최대 규모로 판을 키웠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국산 생갈치는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일반적으로 행사기간이 1주를 넘지 않지만, 이번 행사는 지난 18일을 시작으로 총 2주간 계속됩니다.

 

이마트가 이처럼 제주산 생갈치를 평소보다 기간을 늘려 대규모로 진행할 수 있는 배경에는 올 여름 지속된 화창한 날씨로 인해 제주지역의 채낚기 어선의 조업량이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특히 제주 갈치는 작은 배로 근해에서 조업하는 채낚기 조업 비율이 높아 바다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올해는 단 한차례의 태풍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장마 영향도 없는 맑은 날씨가 바다에도 지속됐기 때문입니다. 육지에서는 올해 기록적인 폭염 여파로 인해 밭작물 생육에 비상등이 켜지며 가격이 뛰어 밥상물가를 끌어올린 반면 바다는 오히려 조업 가능한 날이 늘어나며 어획량 상승을 견인한 것입니다.

 

실제 올해 6월부터 8월(~19일)까지 제주해역에는 단 3번의 풍랑주의보 (경보)만 발표되며 지난해의 1/3 수준에 그쳤고, 이에 조업 회수가 늘어나며 서귀포수협 기준으로 생갈치가 경매에 나온 날은 지난해보다 14일 많은 77일로 집계됐습니다. 이 같은 조업 회수 증가는 곧 어획량 상승으로 이어져 같은 기간 제주지역 수협에 나온 생갈치 위판량은 총 10만 7천박스를 웃돌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어획량이 늘어나면서 생갈치 산지가격은 지난해 보다 낮아졌습니다. 수산관측센터 자료에 따르면 월별 생갈치 산지가격은 올해 4월 kg당 3만원대까지 치솟은 뒤 5월부터 하락세를 보이다가 올해 7월에는 kg당 1만 7천원대까지 낮아지며 물량수급과 가격 모두 안정화 국면에 들어간 것입니다.

 

염이용 이마트 수산바이어는 “올 여름에는 맑다 못해 푹푹 찌는 더위로 전반적인 신선 먹거리 수급이 어려운 가운데 갈치는 오히려 조업일수가 늘어나며 공급량이 오랜만에 크게 늘었다”며 “한 동안 금갈치라고 불리던 국산갈치 가격이 안정세에 들어간 만큼 이번 대규모 행사를 통해 가계 부담을 덜고 밥상물가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